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0

7-7. 오른손 기본 주법 연습 6. 탁(托), 벽(擘), 대촬(大撮) youtu.be/wSFPWYy3Q7A?t=17 1. 연주법 7, 8: 탁(托, tuo), 벽(擘, pi) 악보 표기법: 탁은 乇, 벽은 尸. 연주현은 乇의 꼬리를 길게 뺀 위쪽, 尸 아래에 적는다. 2. 연주 방법: 탁과 벽은 첫째 손가락을 이용하는 연주법으로, 주로 6-7현에 사용한다. 2-1. 탁(영상 00:43-01:29) 팔꿈치를 살짝 바깥으로 움직이고 팔을 약간 들어올린다. 손가락은 자연스럽게 내려 다른 연주 때보다 좀 더 높은 아치를 만든다. 첫째 손가락과 나머지 손가락이 호랑이의 입(虎口) 모양을 만들도록 한다. 첫째 손가락을 똑바로 펴고 손끝의 살이 도톰해지는 부분을 써서 몸 바깥쪽을 향해 현을 튕긴다. 그렇다고 어깨에 힘이 들어가거나 보기 싫을 정도로 팔을 들어올리지는 않는다. 우아한 자.. 2021. 2. 22.
7-6. 오른손 기본 주법 연습 5. 타(打), 적(摘) youtu.be/A7TfCg23LZw?t=17 1. 연주법 5, 6: 打(타, da), 摘(적, zhai) 악보 표기법: 타는 타는 왼쪽처럼 표기하고 적은 왼쪽처럼 표기한다. 2. 연주 방법(영상 00:40-02:04): 둘 다 넷째 손가락을 이용하는 주법이다. 2-1. 타(영상 00:40-01:14) 다른 손가락은 편하게 놓고, 넷째 손가락은 밖에서 몸 쪽으로 당긴다. 마지막 마디에 힘을 주어서 손가락의 손톱 반, 살 반인 부분으로 연주한다. (구, 말 주법과 비슷함) 보통 넷째 손가락은 다른 손가락에 비해 힘이 약하므로 동일한 음량이 나오도록 손힘을 기른다. 손가락을 너무 펴거나, 반대로 손마디를 꺾어서 현을 쥐어뜯지 않도록 주의한다. 2-2. 적(영상 01:15-01:57) 넷째 손가락은 안에서 밖.. 2021. 2. 22.
5-3. 칠현금 현 새로 얹기 악기에 처음 현을 얹고 조율하고.. 이런건 원래 초심자보다는 가르치는 선생님이 해 주는 작업입니다. 칠현금도 현을 얹는 건 몇번 선생님의 작업을 보면서 눈으로 익힌 다음 본인이 건드리는 중급 스킬(?)인데... 영상에 나온 많은 분들이 '초심자는 본인이 하지 마세요'라고 당부하고 있으나, 우리에겐 옆에서 친절하게 현을 얹어 줄 선생님이 계시지 않으므로 그냥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금진으로 도저히 조율이 되지 않는다. 뭔가 아닌 것 같다. 높은 음을 맞춰야 하는데 금진이 빙글 돌아서 멋대로 낮은 음으로 돌아와 버린다. 음을 높여야 하는데 금진이 죽어도 안 돌아가서 펜치를 가져오고 싶다. -> 이런 분들께 필요한 작업입니다. 무엇을 숨기랴, 제가 오늘로 두번째 현 고쳐 얹었습니다....... 저번엔 추석에 .. 2021. 2. 11.
7-5. 산음 연습곡 1. 창해일성소 youtu.be/PPDyN-RMOJg?t=16 지금까지 배운 오른손 주법 4가지로 첫번째 곡을 연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짝짝짝. 영화 (1992)의 주제가였다고 합니다. 저도 보진 않은 영화입니다. 1. 시범 연주 (영상 00:28-01:12) 감자보에 모르는 표기법이 있을텐데 일단 그러려니 하고 넘어갑시다. 2. 감자보 설명(영상 1:17-2:27, 연주법 읽어주는 부분 영상 2:28-3:22) 오른쪽부터 읽습니다. 제일 오른쪽 첫줄은 노래 제목 이고 둘째줄부터 악보. 위의 악보를 악필이나마 가로쓰기로 바꿔서 다시 적어 보았습니다. 내용은 동일합니다. - 바로 앞 음과 동일한 연주법이 계속되는 경우는 표기를 생략한다. 예를 들어 악보 둘째줄의 연주법은 차례대로 산음 구1현, 산음 도2현(같은 산음이.. 2021. 2. 11.
7-4. 오른손 기본 주법 연습 4. 剔(척) youtu.be/qdaq_6KJ0hI?t=11 1. 연주법 4: 剔(척, ti) 악보 표기법: 연주현은 勹 부분의 가운데에 적는다. (拘와 혼동하지 않도록 勹 위쪽 납작한 冂 모양을 눈여겨 볼 것) 구와 척은 같은 현에서 연달아 연주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경우 척 위에 冖만 덧씌워서 표기한다. (표기법 영상 00:25-00:33, 산음 구+척 표기법 영상 00:35-00:49) 연주 방법(영상 00:53-01:37): 셋째 손가락을 바깥쪽을 향해 튕긴다. 먼저 셋째 손가락은 자연스럽게 살짝 구부리고, 끝에서 두번째 마디를 움직인다. 연주현의 아래쪽 공간에 손가락을 살짝 밀어넣고 손톱 한가운데로 현을 튕긴다. 아랫현을 지지대로 삼아서 튕기는게 아니라 허공에서 그대로 현을 튕겨야 한다. (실제로는 아랫현에.. 2021. 2. 11.
7-0. 칠현금 연주 입문용 유튜브 강의 모음 저는 교재로 연습을 시작했지만, 처음 동작은 유튜브 강의를 보는 편이 이해가 빠릅니다. 그런데 강의별로 가르치는 순서가 많이 달라서 어느 게 더 좋은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저는 일단 유튜브로 손모양을 보면서 교재 순서대로 연습하는 쪽을 택했습니다만, 당연히 교재 별로도 또 순서가 다르니...;; 아무튼 유튜브에 입문자를 위한 강의는 굉장히 많습니다. 내용은 대동소이합니다만.. 일단 (제가) 많이 확인한 유튜브 강의 재생목록을 몇개 링크시킵니다. 점점 늘어납니다. 1. 일단 많은 연습용 칠현금의 부속으로 들어오는 이상정 선생님의 강의. 부속 교재와도 순서가 다르고, 자막이 거의 없어서 악보를 확인하기 힘듭니다. 많은 정보를 한꺼번에 모아 두어서 처음 배울 때 보기는 좀 힘들고, 중간쯤에 복습할 때 좋습니다.. 2021. 1. 16.
7-3. 오른손 기본 주법 연습 3. 挑(도) 1. 연주법 3: 挑(도, tiao) 악보 표기법: 乚. 연주현은 乚 가운데에 적는다. (산음+구 표기법 영상 00:36-00:56. 마지막 1현 주법은 도가 아니라 구로 표기되어 있음) 연주 방법(영상 01:03-02:04): 둘째 손가락을 바깥을 향해 튕긴다. 먼저 둘째 손가락은 자연스럽게 살짝 구부리고, 첫째 손가락 끝을 둘째 손가락의 마지막 마디 옆에 살짝 댄다. 엄지-검지는 동그랗게 모이는데 이 상태를 '용안龍眼', 용의 눈 모양이라고 한다. 나머지 세 손가락은 힘을 빼고 자연스럽게 펼친다. 손을 모은 상태에서 엄지로 검지를 살짝 밀어내면서 둘째 손톱으로 현을 살짝 아래로 튕겨내는 느낌으로 연주한다. 튕겨낸 뒤에는 두 손가락 끝이 겹쳐지면서 뾰족한 타원형을 만들게 되는데 이 상태를 '봉안鳳眼',.. 2021. 1. 16.
7-2. 오른손 기본 주법 연습 2. 勾(구) 1. 연주법 2: 勾(구, gou) 악보 표기법: 勹. 연주현은 勹 가운데에 적는다. (산음+구 표기법 영상 00:54-01:15) 연주 방법(영상 01:24-01:56): 抹과 거의 유사한데 둘째 대신 셋째 손가락 사용. 즉, 셋째 손가락을 밖에서 안쪽으로 튕긴다. 나머지 네 손가락은 힘을 빼고 편하게 놓는다. 옆에서 보았을 때 손톱 반, 살 반 정도로 된 지점(대충 손가락 끝에서 살짝 아랫부분)을 현에 댄다. 셋째 손가락은 가볍게 편 상태를 유지하며, 손가락 마디보다는 너클 부분을 움직이는 느낌으로 당긴다. 셋째 손가락을 완전히 펴거나, 너무 구부려 현을 쥐어 뜯거나(연주하려던 현에 손이 걸리게 된다) 너무 세게 튕겼다가 손톱/손이 칠현금 윗면에 부딪치면 안 된다. 2. 연습(영상 2:07-2:27).. 2021. 1. 16.
7-1. 오른손 기본 주법 연습 1. 抹(말) 0. 인트로의 칠현금은 머리가 테이블 밖에 나가지 않았는데? 전엔 테이블 밖으로 나가야 한다고 했으면서? : 칠현금용 특수 테이블입니다. 잘 보시면 머리가 빠지는 구멍을 뚫어 놓았습니다. 1. 연주법 1: 抹(말, mo) 악보 표기법: 木. 연주현은 木 아래에 적는다. 연주 방법(영상 01:40-02:18) : 둘째 손가락을 밖에서 안쪽으로 튕긴다. 나머지 네 손가락은 힘을 빼고 편하게 놓는다.(억지로 구부리거나 밖으로 펼치지 않음) 옆에서 보았을 때 손톱 반, 살 반 정도로 된 지점(대충 손가락 마지막 마디 끝에서 1/3 지점)을 현에 댄다. 둘째 손가락은 가볍게 편 상태를 유지하며, 손가락 마디보다는 너클 부분을 움직이는 느낌으로 당긴다. 너무 세게 힘을 주지 않고 몸 쪽으로 살짝 당겨오는 느낌. 2.. 2021. 1. 16.
6. 칠현금 악보 표기법 칠현금은 옛날 악기다보니... 오선보 표기가 기본 표기법이 아닙니다. 당연하죠. 칠현금은 전통적으로 감자보(減字譜)라는 표기법을 씁니다. 한국어 발음이 웃깁니다. 글자를 줄인 악보.. 라고 하는데 그냥 일종의 암호라고 생각하면 마음이 편합니다. 한자를 알면 조금 읽기 편하고 모르면 그냥 암호로 외우면 됩니다. 아, 그래도 한자로 숫자 1-13 정도는 읽을 수 있어야 할 것 같네요. 어쨌든 현대의 초보 학습자를 위해서는 대충 이런 형식으로 악보를 표기합니다. 악보를 시작할 때는 "제목-조율법" 이후는 "음길이(숫자보?)-오선보-감자보"의 반복입니다. 감자보 부분은 양손의 연주 위치와 방법을 지정해 주기 때문에 꼼꼼히 읽어야 합니다. 연주 기호는 최종적으로는 대충.... ...A4 3페이지 정도? 한 6-7.. 2021. 1. 11.
4-3. 칠현금 연주음 종류 4-2. 프레젠테이션에도 나왔던 것 같은데, 음 종류는 크게 3 종류가 있습니다. 산음(散音), 범음(泛音), 안음(按音)입니다. 1. 산음(散音) 오른손만 써서 개방현으로 내는 소리입니다. 2. 범음(泛音) 왼손까지 써서 휘를 눌러 음정을 조절해서 내는 소리입니다. 누른다기보다는 건드린다, 현을 어루만진다는 느낌이 강합니다. 범음을 익히고 나면 현으로 조율을 할 수 있게 됩니다. 3. 안음(按音) 왼손으로 현을 눌러서 내는 소리입니다. 그냥 눌러서 내는 소리와, 올리거나 내려서 ↗ ↘ 같이 내는 소리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연주 영상에서는 이 부분에 '끼익' '끼익'하고 귀에 거슬리는 소리가 같이 녹음됩니다.. ...그게 멋이라는군요... 이 부분은 영 납득이 되지 않으나... 아무튼 손 모양을 보기 편.. 2021. 1. 11.
4-2. 칠현금 presentation 영어로 된 칠현금 presentation 영상입니다.대충 개론의 종합 버전이다 생각하고 한번 봐도 재미있는 것 같아요. 위쪽은 전공자 분의 영상인 것 같은데 평범한 프레젠테이션이고... 아래쪽은 '드라마에 나오는 이런 칠현금 연주법 잘못되었다'를 열심히 설명해 주셨습니다. 2021. 1.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