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금.칠현금/산음 연주법

7-3. 오른손 기본 주법 연습 3. 挑(도)

by layina 2021. 1. 16.

1. 연주법 3: 挑(도, tiao)
 악보 표기법: . 연주현은  가운데에 적는다.
  (산음+구 표기법 영상 00:36-00:56. 마지막 1현 주법은 도가 아니라 구로 표기되어 있음)

 연주 방법(영상 01:03-02:04): 둘째 손가락을 바깥을 향해 튕긴다.
  먼저 둘째 손가락은 자연스럽게 살짝 구부리고, 첫째 손가락 끝을 둘째 손가락의 마지막 마디 옆에 살짝 댄다.
  엄지-검지는 동그랗게 모이는데 이 상태를 '용안龍眼', 용의 눈 모양이라고 한다.
  나머지 세 손가락은 힘을 빼고 자연스럽게 펼친다.
  손을 모은 상태에서 엄지로 검지를 살짝 밀어내면서 둘째 손톱으로 현을 살짝 아래로 튕겨내는 느낌으로 연주한다.
  튕겨낸 뒤에는 두 손가락 끝이 겹쳐지면서 뾰족한 타원형을 만들게 되는데 이 상태를 '봉안鳳眼', 봉황의 눈 모양이라고 한다.

  도로 연주할 때는 셋째 손가락을 지지대로 이용한다.
  기본적으로는 연주하는 현의 바로 윗현(바깥쪽으로 하나 더 올라간 현)을 가볍게 짚는다.
  7현을 연주할 때 셋째 손가락은 6현, 4현을 연주할 때 셋째 손가락은 3현.. 등등.
  1현은 위에 다른 현이 없으므로 셋째 손가락의 도움을 받을 수 없다.(1현을 도로 연주하는 경우는 초급엔 거의 없다)

  구슬치기 하듯 튕겨버리는게 아니라 엄지가 검지 뒤로 살짝 미끄러지면서 받쳐주는 식으로 움직여야 하며,
  둘째 손가락을 미리 현에 대고 있다가 튕겨서도 안된다.
  처음엔 연주할 현을 튕기는 김에 윗현까지 같이 연주하는 실수도 생기는데, 윗현에 손톱은 닿아도 소리는 내면 안된다.

2. 연습 1 - 도 (영상 2:10-2:53)
 먼저 제4현을 도 방식으로 연주하여 손가락의 감각을 익힌다.
 이후 제7현(몸에 가장 가까운 현)부터 차례대로 밖으로 움직이면서 연습하고,
 1현은 셋째 손가락을 놓을 자리도 없고 하니 구(셋째 손가락 밖->안)로 마무리한다.

3. 연습 2 - 말+도 (영상 3:04-3:4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