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금.칠현금/산음 연주법

7-6. 오른손 기본 주법 연습 5. 타(打), 적(摘)

by layina 2021. 2. 22.

youtu.be/A7TfCg23LZw?t=17


1. 연주법 5, 6: 打(타, da), 摘(적, zhai)
 악보 표기법: 타는

 타는 왼쪽처럼 표기하고

 

적은 왼쪽처럼 표기한다. 

 

2. 연주 방법(영상 00:40-02:04): 둘 다 넷째 손가락을 이용하는 주법이다.

 2-1. 타(영상 00:40-01:14)

다른 손가락은 편하게 놓고, 넷째 손가락은 밖에서 몸 쪽으로 당긴다.

마지막 마디에 힘을 주어서 손가락의 손톱 반, 살 반인 부분으로 연주한다. (구, 말 주법과 비슷함)

보통 넷째 손가락은 다른 손가락에 비해 힘이 약하므로 동일한 음량이 나오도록 손힘을 기른다.

손가락을 너무 펴거나, 반대로 손마디를 꺾어서 현을 쥐어뜯지 않도록 주의한다.


 2-2. 적(영상 01:15-01:57)

넷째 손가락은 안에서 밖으로 튕긴다.

마지막 마디에 힘을 주고 손톱을 써서 연주하며, (마지막 마디 힘으로 연주하는게 아니라 손마디 꺾이지 않게)

튕겨낼 때 팔 전체도 약간 바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손가락 힘을 기르고, 헛치거나 현에 손톱이 걸려버리지 않게 주의한다.

3. 연습 1 - 도 (영상 2:00-2:20)
제1현부터 7현까지 타와 적을 번갈아 가며 연주한다. (감자보 표기는 영상 우측 하단 참조)

즉, 바깥에서부터 넷째 손가락만 안 밖 안 밖으로 튕기며 몸으로 다가온다.


3. 연습 2 - 종합 (영상 2:25-3:05)

 

 

오른쪽에서 왼쪽, 위에서 아래로 읽습니다.

산음 말도1현, 말1현, 구척1현, 말도1현, 구척1현, 구1현, 타적1현, 구척1현, 타적1현, 타1현, 말도1현, 타적1현.

오른손 손가락은 22 2 33 22 / 33 3 44 33 / 44 4 22 44, 주법은 '밖에서 안 -> 안에서 밖' 순서입니다.

이런 주법으로 1현부터 7현까지, 영상에 두번째로 나온 속도대로 전부 연습을 하라고 하는데.. 어렵네요.

 

세 손가락 모두 동일한 음량이 나오고, 헛질하거나 손이 현에 걸리지 않도록,

그리고 손가락을 바꾸거나 하면서 연주하는 손가락 외의 다른 손가락이 현에 닿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특히 셋째 손가락이 잘못 닿으면 잡음이 생기거나 현이 울리지 않아서 소리가 죽습니다.

 

눈치껏 아시겠지만, 감자보 해석법을 덧붙이면..

제일 위의 초두변은 산음 표시이고 이후는 전부 산음이라 생략되었고,

말1현과 도1현의 표기를 저렇게 합쳐놓으면 '말-도' 순서로 동일한 현을 연주합니다.

 

이렇게 표기하면 '구-척' 순서로 연주한다는 건 저번 강의영상에서 나왔었고..

 

 

이렇게 표기하면 오늘 나온 '타-적' 순서로 연주합니다.

좀 흐리지만 영상으로 보시면 적 표기법 위에 타 표기법을 덮어 씌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