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라마... 같은데요, <삼국연의> 삽입곡으로 극중 제갈량이 연주하는 <유위가(有爲歌)>의 개편곡으로, 새로 나오는 주법은 일단 없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二上 표기만 보시면 됩니다.
* 영상에서 각 구의 시범연주 뒤로 끊임없이 말을 하는데 대부분은 헷갈리지 않도록 감자보를 읽어주는 부분입니다. '산음 구3현, 엄지 8.5휘로 말5현' 같은 식으로 줄줄이 읽고 있습니다.
* 영상이 유튜브로 넘어오면서 해상도가 낮아졌는지 전체 악보는 글씨가 잘 보이지 않습니다. 비슷한 다른 악보는 뒤에 따로 올립니다.
https://youtu.be/LJXRkn6R928?t=25
1. 전체 시범연주 및 곡 설명(0:26-1:43)
2. 1-2구 느린 시범 연주(2:06-2:49)
3. 1구 연주법
(1) 주注, 작綽(3:10-3:30): 주는 지정 위치까지 아래로 미끄러지는 활음, 작은 지정 위치까지 위로 올라오는 활음.
(2) 도搯(3:48-4:05): =도기搯起. 악보를 잘못 읽지 않도록 주의하고, 왼손 무게중심을 옮김과 동시에 손가락을 위로 들어서 소리낸다.
(3) (4:15-4:30): 왼손 약지-중지로 연이어 손가락을 변경할 때는 약지를 평소보다 살짝 더 옆으로 눕히면 중지로 바꿀 때 편하다.
* 1구의 이 부분에서 영상은 좌4 10휘 도4현의 도를 구로 바꿔 연주함.
(4) 촬撮(4:37-5:02): 두 음은 동시에 울리도록 하고 음량도 비슷하도록 연습한다.
4. 1구 시범연주 (5:13-5:18)
5. 2구 연주법
(1) 이상二上(5:25-5:40): 상上으로 연주하되 중간에 한번 멈춰서 二上 뒤에 나오는 지정휘는 두번째로 내는 소리가 되도록 연주한다.
여기서는 "좌1 8.5휘"의 안음 다음에 "二上七"이 나오므로, 8.5휘에서 안음을 연주한 뒤 상上으로 올라오며 7.6휘, 7휘에서 두 번 소리를 낸다.
(2) 탁托(5:41-5:55): 엄지를 연주할 때 손을 세우고 손가락 두 마디는 구부리지 말고 연주한다.
(3) 2구의 끝에서 세 번째 음은 말/도를 차례대로 연주하는 표기라는 걸 유념한다.
6. 2구 시범연주(6:32-6:52)
7. 1-2구 시범연주(6:53-7:39)
https://youtu.be/qrzAPR45woM?t=44
1. 3구 시범연주(0:44-1:24)
2. 3구 연주법 - 구/척+하(2:23-3:12)
(1) 구/척은 하나의 현을 안팎으로 연주하며, 두 음은 조화롭게 연결되면서도 대비가 되도록 한다.
(2) 칠현금의 연주는 점과 선으로 이어져 있다고도 설명하는데, 대략 활음이 선이고 그 외의 고정음은 점으로 이해하면 된다. 점과 선의 연결 및 조화를 생각하며 연주한다.
3. 1-3구 시범연주(3:16-4:38)
'고금.칠현금 > 안음 연주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9-6. 와룡음 추가 (0) | 2021.08.25 |
---|---|
9-6. 와룡음(臥龍吟) 제2단 + 背鎖, 吟 (0) | 2021.08.25 |
9-5. 안음 연습곡 - 봉구황(鳳求凰) + 進(jin), 帶起(daiqi)/抓起(zhuaqi) (2) | 2021.06.28 |
9-4. 안음 연습곡 - 추풍사 2 + 退(tui), 注(zhu), 復(fu) (0) | 2021.06.06 |
9-4. 안음 연습곡 - 추풍사(秋風詞) 1 + 綽(chuo), 潑(po) (1) | 2021.05.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