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금.칠현금/안음 연주법

9-13. 양관삼첩(陽關三疊)+겹촬삼성(掐撮三聲, qiacuo sansheng)

by layina 2022. 7. 16.

* 딱히 고의는 아니었으나 지금까지 꿋꿋이 정조로 버티다가 드디어 변조가 나왔습니다.

* 당唐의 시인 왕유王維의 시 "송원이사안서(送元二使安西, 안서로 떠나는 원이를 배웅하며)"에서 제재를 딴 곡입니다.   “渭城朝雨浥輕塵, 客舍青青柳色新. 勸君更盡一杯酒, 西出陽關無故人."

 

1. 곡명: <양관삼첩(陽關三疊)>, <양관곡(陽關曲)> 또는 <위성곡(渭城曲)>.

 * 제목에 "~첩(疊)"이 들어가는 경우 주선율이 반복되는 곡인 경우가 많습니다. 양관삼첩은 삼첩이므로 3회 반복.

 

2. 조성: ♭B (긴오현緊五絃)

더보기

정현법에서 "긴緊"이 나오면 그 다음에 나오는 현들을 1도 정도 높입니다.

반대로 "만慢"이 나오면 그 다음에 나오는 현들을 1도 정도 낮춥니다.

"긴5현"이면 5현을 1도 높이고, "만36현"이면 3현과 6현을 1도씩 낮추는 식입니다.

이 한자 2개를 기억하는게 제일 쉽습니다.

 2-1. 조율기의 버튼(보통 우측 버튼, 전원 버튼 말고 다른 쪽)을 눌러 ♭B로 놓고 조율한다.

 2-2. 정조로 조율이 된 상태에서

  3현 4휘=5현 5휘(or 3현 10휘=5현 9휘)가 될 때까지 5현을 조인다.

  정조로 돌아올 때는 7현 5휘=5현 4휘가 될 때까지 5현을 늦춘다.

 

3. 연주 영상

https://youtu.be/_9fnek_hjR8

 

 

 

4. 악보: 阳关三叠古琴谱-阳关三叠古琴谱-阳关三叠减字谱-国琴网 (guoqinwang.com)

 * 링크한 영상, 그 외 영상들 대부분에 비해 장식음이 상당히 많고 "촬"을 여러 차례 쓰는 악보입니다...

 못해먹겠다 싶은 경우, 제일 아랫줄에 가사가 있는데요. 가사에 달린 음만 연주해서 익숙해진 다음 장식음을 추가하는 식으로 연습해도 좋습니다. 노래가 붙은 곡의 경우 실음(오른손으로 내는 음)은 가사가 있고 허음(여운으로 내는 음, 주로 왼손으로 연주)은 가사가 없는 경우가 많아서 그렇게 이상하지 않습니다.

 

 

1. 2행 겹촬삼성(掐撮三聲, qiacuo sansheng): 표기는

-> 이것. 그냥 "촬삼성(撮三聲, cuo sansheng)"이라고도 합니다.

좀 자신은 없지만 제가 이해한 대로 설명을 하면...

 

(1) 기존 주법 중에 '도기(搯起, taoqi)'가 있었습니다.

대충 이렇게 생긴? 왼손의 엄지 약지로 현을 누르고 엄지를 들면서 현을 튕겨서 약지의 안음을 내는?

런데 경우에 따라 이걸 겹기(掐起, qiaqi)라고 표시하고/읽는 분도 있습니다.

 

(2) 기존 주법 중에 '엄(掩, yan)'도 있었습니다.

이렇게 생긴? 왼손 약지로 안음 연주한 다음 엄지로 그 현의 위쪽을 쳐서 한 휘 정도 높은 음을 내는?

 

(3) 그러므로 '엄+도기(겹기)' 연주가 가능합니다.

겹촬삼성은 이걸 3 세트 반복하면서 그 사이와 끝에 '촬撮'을 붙여줍니다.

"엄+도기"++"엄+도기"+"엄+도기"+  : 총 8음 완성! 이 "(겹)촬삼성"의 연주법입니다.

https://youtu.be/o_U119Y5y5g?t=31 

 

 '촬'을 어느 음으로 할지 따로 지정해주지는 않지만, 앞에 그럴듯한 부분이 있었을 겁니다.

이 악보라면 "산6현"과 "좌4 10휘 구4현"이 나왔으니

4현에서 "9휘 엄+10휘 도기"를 반복하면서 중간과 끝에 촬{산6현 + 좌4 10휘 구4현} 연주, 겠죠.

다시 악보를 보시면 왜 겹촬삼성 밑에 괄호 치고 기호들을 잔뜩 그려 놓았는지 이해가 되실 겁니다.

 

(4)  겹촬삼성에는 다른 연주법도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8음을 내지만

"엄+겹기(도기)+반겹기(도기)+촬"을 2세트 반복하는 경우로,

"반겹기(도기)"는 왼손 약지로 현을 누른 채 도기와는 반대로, 엄지의 손톱을 바깥쪽으로 움직여서 현을 칩니다.

화질은 좀 뭣하지만... 여기 나오는 첫번째 연주법입니다. 두번째는 위의 겹촬삼성이죠.

https://youtu.be/eHXOGL4H9ww?t=21 

 

처음 도기가 뭔지 영상으로 검색할 때는 다들 도기도기 하더니, 여기에서 이런 함정이 나오네요.

처음부터 겹기로 외웠더라면 편했을 것을... ( __)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