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부터 말하면 "~식"은 칠현금 본체의 디자인입니다.
칠현금은 본체 외에는 모든 부품을 갈아끼울 수 있기 때문에 유일하게 변경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종류는 꽤 많습니다. 대충 이런 느낌.
(왼쪽부터 복희, 신농, 중니, 혼돈, 태화 // 봉소, 봉설, 영기, 사광 // 낙하, 초엽, 연주, 선화)
https://twitter.com/windson0707/status/1480555712891998216?s=20&t=GJy46_hgHVcTVh-cypuZDQ
大阪七絃琴館 on Twitter
“聖人琴である仲尼、伏羲、神農式… 文人琴である落霞、残雷、蕉葉、竹節、響泉、梁鸞…… 七絃琴の形は古代文献に記載されているのは50種類以上ある。 古人がデザインして、ネーミン
twitter.com
현악기의 본체 모양이 다르다는 건 당연히 울림통 형태가 다르다는 뜻이고 소리가 조금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중국에선 중저가형 모델 이상에는 "30일 시험 기간"을 주는 곳도 제법 있고,
음색 확인을 위해 악기 모델별로 하나하나 연주 동영상을 만들어 올려주기도 합니다만
이건 본인이 귀를 기른 다음 취향에 맞춰서 골라야겠죠.
본체 디자인보다는 금을 제작하는 장인의 스타일이 더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일단 지금은 제가 말을 얹을 수준이 아니네요.
각 디자인의 이름은 모두 전통과 유래가 있는 이름입니다.
예를 들어 가장 많은 "중니식"의 "중니"는 공자님입니다. 칠현금을 잘 탔다고 하지요.
"복희식"의 "복희"나 "신농식"의 "신농"은 전설의 삼황오제 중 하나.
다른 많은 문화를 발명하는 가운데 칠현금의 기초 형태를 만들었다는 전설이 있다고 합니다.
"사광식"의 "사광"도 기원전의 매우 유명한 악사입니다.
디자인의 종류가 꽤 다양한데 일단 사진이 선명하게 나온 자료만 몇 개 정리하고,
나중에 또 심심해지면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어차피 저가형은 대체로 복희식 아니면 중니식이고 간혹 혼돈식, 초엽식, 연주식 등이 추가됩니다.
물론 반드시 갖고 싶은 형태나 칠색(흑색, 적색, 녹색+마블링, 금가루 등), 휘석(자개, 은 등)이 있다면
주문 제작을 받는 제작자를 찾아서 주문을 넣을 수도 있습니다. 중국어가 필요하겠죠, 물론.
이 경우에는 목재 재단부터 제작해야 하므로 제법 오랜 시간을 기다리셔야 할 겁니다.
보통 초엽식과 사광식은 추가 가공비를 받고 그 외에는 비슷한 금액대인 것 같았습니다.
초엽식은 정면샷으로는 잘 티가 나지 않는데 악기 옆면도 커다란 물결 무늬를 그리는 모양이고,
악기 머리 역시 파초잎의 하단을 본떠서 나뭇잎이 시작하는 모양처럼 둥글게 휘어 있습니다.
1. 복희식 伏羲式
2. 신농식 神農式
3. 중니식 仲尼式
4. 혼돈식 混沌式
5. 연주식 連珠式
6. 영기식 靈機式
7. 호종식 號鐘式
8. 영관식 伶官式
9. 열자식 列子式
10. 사양식 師襄式
11. 옥봉식 玉峰式
12. 신휘식 神暉式
13. 요량식 繞梁式
14. 초미식 焦尾式
15. 낙상식 洛象式
출처 및 보다 자세한 설명은 이하 참조.
欲学琴先识琴——常见古琴样式概览(含图片)
'고금.칠현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5-1. 조율기로 조율하기 (3) | 2021.01.05 |
---|---|
3. 칠현금 부위 명칭 (0) | 2021.01.04 |
2. 칠현금 보관하기 (0) | 2020.12.28 |
1-2. 연습용 칠현금의 구매 옵션은 필요한가 (0) | 2020.12.25 |
1-1. 칠현금 구매하기 (4) | 2020.12.25 |
댓글